약물 중독 치료에서 집단상담의 놀라운 효과
약물 중독, 참 무서운 병입니다. 한번 빠지면 헤어나오기 어려운 이 질병은 마약, 처방약 등에 심각하게 의존하게 만들어 삶을 망가뜨립니다1,2. 우리나라에서도 중독자 수가 갈수록 늘고 있어 걱정입니다. 2020년에는 무려 18,050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마약류 사범으로 검거되었다고 합니다3. 이런 약물 중독은 중독자 개인의 건강과 인생을 망치는 것은 물론, 가정 파탄, 범죄, 경제적 손실 등 사회 전체에 엄청난 악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4. 그래서 약물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게 정말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약물 중독, 집단상담으로 해결하자!
1. 집단상담의 마법 같은 효과, 그 비밀은?
약물 중독 치료하면 보통 개인 상담 생각하기 마련인데, 집단상담의 효과도 엄청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집단상담은 약물 중독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말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일단 사회학습이론 관점에서 보면, 집단상담에서는 중독에서 회복된 사람들의 경험을 듣고 배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배운 것을 직접 실천하면서 약물에 대한 그 끈질긴 갈망을 이겨내는 방법을 터득하게 됩니다5,6.
또 집단역동이라는 게 있어서 집단 구성원들끼리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면서 혼자서는 못 느꼈던 소속감도 생기고, 자신의 문제를 깊이 통찰하게 되죠7,8.
애착이론 관점에서 보면, 약물중독의 근본 원인이 어린 시절의 불안정한 애착 경험과 관련 있다고 합니다. 집단상담은 이런 애착의 상처를 치유하고 건강한 관계 맺는 법을 가르쳐 준답니다9,10,11.
인지부조화이론에 따르면, 약물 중독자들은 자기 행동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변화하고 싶어도 그게 쉽지 않아 내적 갈등을 겪습니다. 집단상담은 이런 부조화와 갈등을 해소하고 변화에 대한 동기를 북돋아 줍니다12.
2. 집단상담, 이렇게 하면 효과 만점!
물론 집단상담이 제 효과를 발휘하려면 전문적인 운영 기술이 필요합니다.
우선 초기에는 집단 구성원들 사이에 믿음과 신뢰를 다지는 게 중요합니다. 약물에 대한 끊임없는 유혹과 갈망에 흔들리기 쉬운 초기 단계를 잘 버텨내려면 안전하고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이 필수적이죠13. 참여자들의 마음을 열고 변화에 대한 희망을 심어주는 동기면담 기법도 효과적입니다14.
중기에 접어들면 집단상담만의 특화된 기법들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인지행동치료로 약물 사용 욕구를 다스리는 방법을 훈련하고, 마음챙김 명상으로 부정적 감정도 다루면서 스트레스 대처 능력도 키울 수 있습니다15.
마지막 종결 단계에서는 그동안의 변화를 정리하고 격려하면서, 새로운 삶을 향한 희망찬 다짐을 이끌어내는 게 좋습니다. 앞으로 재발 방지를 위해 꾸준히 실천해야 할 계획도 세워주고, 자조모임 같은 사후관리 자원도 연계해 주는 거 잊지 마세요16,17.
이 모든 과정에서 집단 역동을 민감하게 읽어내고 적절히 개입하는 것이 상담자의 눈썰미라 할 수 있겠네요. 약물에 대한 갈망, 부정적 정서, 저항 등 다양한 역동에 대응하려면 인지행동치료, 수용전념치료, 동기강화접근 같은 기법들을 융통성 있게 적용해야겠죠18. 무엇보다 약물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중독에서 회복하는 데 필요한 여러 삶의 기술들을 함양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19.
3. 나만의 중독 회복 동지, 바로 여기 있어요!
중독에서 회복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혼자가 아니라는 걸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고민을 나누고 위로와 격려를 주고받을 수 있는 동료들의 존재는 정말 값진 선물이 될 수 있죠.
실제로 집단상담은 약물 중독으로 인한 수치심, 죄책감, 소외감을 해소하고 자존감을 회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비슷한 아픔을 겪어본 사람들이 보여주는 깊은 공감과 지지는 중독의 늪에서 빠져나오는 원동력이 되어주니까요20. 뿐만 아니라 이런 소속감은 치료 후에도 단약 상태를 유지하고 건강한 사회생활을 하는데 든든한 버팀목이 됩니다21.
또 집단상담에서는 중독에서 성공적으로 회복된 선배들의 경험담을 들으면서 자신도 변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됩니다.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이 생기는 거죠22. 특히 회복의 선배로부터 받는 조언과 멘토링은 약물을 끊는 힘든 과정을 견디는 데 정말 큰 힘이 된답니다23.
집단상담에서는 "내가 할 일은 바로 이거야!"라며 구체적인 변화 목표를 세우고 열심히 실천하게 됩니다. 수동적이고 의존적이던 태도에서 벗어나 스스로 삶의 주인공이 되는 연습을 하게 되는 것이죠24. 나아가 원활한 소통과 감정 표현, 갈등 해결 같은 대인관계 기술까지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약물 때문에 망가졌던 인간관계도 차츰 회복되는 거죠25.
4. 모두가 행복해지는 중독 없는 세상을 향해
아무리 좋은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라도 적합한 대상자를 선발하지 않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겁니다. 따라서 중독의 유형과 심각도, 치료 동기 수준 등을 면밀히 평가하여 적절한 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먼저 불법 약물, 처방약 등 중독 물질의 종류와 사용 기간, 중독 심각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겠죠. 초기 단계의 경한 중독자와 만성적이고 중증의 중독자를 한 데 묶어 상담하는 건 적절치 않습니다26.
중독 치료에 대한 동기 수준도 중요한 변수입니다. 자발적으로 치료를 결심하고 적극적으로 변화를 모색하는 사람이 집단상담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죠. 전문가용 평가 도구를 활용하면 개개인의 변화 동기와 준비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27.
정신질환이 동반된 경우라면 집단상담 적합성 판단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겠죠. 병원 치료나 약물요법이 선행되어야 할 수도 있고, 집단상담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의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네요28.
자살이나 폭력성 등 위험 요인이 있다면 일단 개인 치료에 의뢰하는 것이 안전할 겁니다. 객관적인 위험성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잠재적 위험을 사전에 점검하고 대비하는 것, 잊지 마세요29.
집단상담에 대한 이해도 중요한 선발 기준이 될 수 있겠네요. 참여 전에 꼭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면서 상담의 목적과 진행 방식, 참여자에게 기대되는 역할 등을 구체적으로 안내해야겠죠? 상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곧 적극적인 참여로 이어질 테니까요30.
마치며
지금까지 약물 중독 치료에 있어 집단상담이 얼마나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지 살펴봤습니다. 중독에서 회복하려면 단순히 약물을 끊는 것 이상의 총체적 변화가 필요하죠. 그런 점에서 집단상담은 심리·정서·관계적측면에서의 회복을 도모하는 최적의 치료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7. 하지만 집단상담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상담자의 전문성, 치밀한 운영 전략, 적합한 대상자 선발 등 여러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중독전문가 대상 교육·수퍼비전 체계를 확립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표준 프로그램과 매뉴얼을 보급하는 등 실천 현장을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마약, 처방약물 남용, 클럽 약물 등 다양한 약물 중독 유형별로 특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라 하겠습니다. 아울러 온라인과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코로나19 시대에 맞는 新중독 치료 모델을 창출하는 것도 필요할 것 같네요31.
약물 중독은 한 개인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가정은 물론 지역사회, 국가 전체가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할 우리 모두의 문제죠. 중독의 예방과 조기 개입, 치료와 재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집단상담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재정적 지원 또한 필수적이라 하겠습니다.
변화는 결코 혼자 이루어낼 수 없습니다. 함께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죠. 약물 중독이라는 질병과 싸워 이기려는 사람들 곁에는 언제나 따뜻한 동행자들이 있습니다. 바로 집단상담이라는 이름으로 말이죠. 중독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집단상담이 새 희망이 되길, 그렇게 약물 중독 없는 건강한 세상을 향해 우리 모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참고문헌
- Leshner, A. I. (1997). Addiction is a brain disease, and it matters. Science, 278(5335), 45-47.
- 김성재 (2020). 약물 중독의 이해와 치료. 학지사.
- 대검찰청 (2021). 2020년 마약류 범죄 현황. 대검찰청 통계자료집.
- 이민규, 남정자, 이정균 (2004). 약물 남용이 초래하는 사회적 비용과 질병부담. 보건복지포럼, 1(1), 25-35.
- Bandura, A., & Walters, R. H. (1977). Social learning theory (Vol. 1). Prentice Hall.
- Roush, S., Monica, C., Carpenter-Song, E., & Drake, R. E. (2015). First-person perspectives on Dual Diagnosis Anonymous (DDA):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dual diagnosis, 11(2), 136-141.
- Wendt, D. C., & Gone, J. P. (2018). Group therapy for substance use disorders: A survey of clinician practices. Journal of groups in addiction & recovery, 13(4), 243-259.
- Schimmel, C. J., & Jacobs, E. E. (2011). Group counseling for substance use disorders: Strategies and skills for leading group sessions. Oxford University Press.
- Unterrainer, H. F., Hiebler-Ragger, M., Rogen, L., & Kapfhammer, H. P. (2018).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White matter impairment is linked to increased negative affective states in poly-drug use.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2(1), 208-221.
- Flores, P. J. (2011).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Jason Aronson.
- Kaur, R., & Kaur, G. (2015). Attachment styles in relation to drug addiction: A review.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ian Psychology, 2(3), 66-72.
- Miller, W. R., & Rollnick, S. (2013). Motivational interviewing: Helping people change. Guilford press.
- 박성현 (2017). 중독 집단상담의 운영 기법과 활용. 중독정신의학, 24(2), 43-50.
- Hettema, J., Steele, J., & Miller, W. R. (2005). Motivational interviewing.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1(1), 91-111.
- Bowen, S., Chawla, N., Collins, S. E., Witkiewitz, K., Hsu, S., Grow, J., ... & Marlatt, A. (2009). Mindfulness-based relapse prevention for substance use disorders: A pilot efficacy trial. Substance abuse, 30(4), 295-305.
- McGovern, M. P., & Carroll, K. M. (2003).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ubstance use disorders. Psychiatric Clinics, 26(4), 991-1010.
- Finn, H. E., & Watson, R. A. (2017). The use of health coaching to improve health outcomes: Implications for applied behavior analysis. The Psychological Record, 67(2), 181-187.
- 최송식, 정남운 (2013). 집단상담에서 중독 내담자 저항의 의미와 상담자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319-341.
- 채숙희 (2020). 중독상담과 치료공동체. 상담과 지도, 59(1), 91-108.
- Martin, G. W., & Rehm, J. (2012). The effectiveness of psychosocial modalities in the treatment of alcohol problems in adults: A review of the evidence.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7(6), 350-358.
- Buckingham, S. A., Frings, D., & Albery, I. P. (2013). Group membership and social identity in addiction recovery.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27(4), 1132-1140.
- Borkman, T. (2008). The twelve-step recovery model of AA: A voluntary mutual help association. Recent developments in alcoholism, 205-222.
- Tracy, K., & Wallace, S. P. (2016). Benefits of peer support groups in the treatment of addiction. Substance abuse and rehabilitation, 7(1), 143-154.
- 박상규, 김창대 (2019). 중독 집단상담 참여자의 변화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중독정신의학, 23(2), 49-61.
- Wendt, D. C., & Gone, J. P. (2017). Group therapy for substance use disorders: A survey of clinician practices. Journal of groups in addiction & recovery, 12(4), 243-259.
- McLellan, A. T., Cacciola, J. C., Alterman, A. I., Rikoon, S. H., & Carise, D. P. (2006). The Addiction Severity Index at 25: origins, contributions and transitions.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15(2), 113-124.
- DiClemente, C. C., Schlundt, D., & Gemmell, L. (2004). Readiness and stages of change in addiction treatment.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13(2), 103-119.
- Mueser, K. T., & Gingerich, S. (2013). Treatment of co-occurring psychotic and substance use disorders. Social Work in Public Health, 28(3-4), 424-439.
- Webster, C. D., Martin, M. L., Brink, J., Nicholls, T. L., & Desmarais, S. L. (2009). Manual for the Short-Term Assessment of Risk and Treatability (START). Forensic Psychiatric Services Commission.
- Center for Substance Abuse Treatment (2005). Substance abuse treatment: Group therapy. Treatment Improvement Protocol (TIP) Series, No. 41.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 정슬기 (2021). 코로나19에 따른 알코올·도박 중독 치료서비스의 대응 현황 및 과제. 보건복지포럼, 2021(7), 67-81.
'상담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심리학: 행복의 비밀, PERMA 모델 완벽 해설! (3) | 2024.11.26 |
---|---|
부부관계, 심리학으로 풀어보는 행복의 비밀 (2) | 2024.11.20 |
이야기로 풀어내는 마음 치유: 내러티브 상담의 세계 (2) | 2024.11.17 |
마음의 손길, 호스피스 상담: 삶의 마지막 여정에 따스함을 더하다 (4) | 2024.11.17 |
마음 나눔터, 집단상담 이야기 (6)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