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심리학

셀카, 남녀 간 촬영 행동 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가산면 2024. 11. 24. 23:43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발달은 사진 촬영을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만들었으며, 특히 셀카는 자기표현 및 소통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그러나 셀카 촬영 행동에 있어 남녀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관찰됩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셀카 촬영을 즐기는 경향이 뚜렷하며, 이는 단순한 선호도의 차이를 넘어 다양한 심리적, 사회문화적 요인과 관련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본 글은 남녀의 셀카 촬영 행동 차이를 분석하고, 그 이면에 숨겨진 심리학적 차이를 고민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진화심리학, 사회문화적 관점, 자기 객체화 이론, 사회 비교 이론 등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관련 연구 결과를 제시하여 주장을 뒷받침할 것입니다.

 

사진에 담긴 남녀의 심리: 진화심리학 vs 사회문화

심리학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셀카 촬영 행동의 성별 차이를 설명합니다. 먼저, 진화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생존과 번식이라는 본능적인 욕구와 연결시켜 해석합니다. 수백만 년에 걸친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남녀는 각자 다른 생존 전략을 발달시켜 왔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오늘날 우리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셀카 촬영 행동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남성

힘, 능력,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사진을 통해 경쟁력을 드러내고, 짝짓기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본능이 작용합니다. (Buss, 1989) 남성은 역사적으로 사냥, 전쟁, 경쟁 등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고 사회적 지위를 확보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진화적 배경은 오늘날에도 남성들이 자신의 강인함, 능력, 사회적 성공을 과시하고 싶어하는 욕구로 이어집니다. 셀카를 찍을 때에도, 남성들은 자신의 멋진 모습, 즉 탄탄한 근육, 고급스러운 차, 명품 시계 등을 보여주면서 "나는 능력 있고 매력적인 남자"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성

아름다움, 젊음, 건강미를 강조하는 사진을 통해 번식력과 양육 능력을 어필하고, 안정적인 짝을 찾으려는 본능이 작용합니다. (Singh, 1993) 여성은 역사적으로 출산과 육아의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이는 젊음, 건강, 아름다움과 같은 신체적 특징을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이어졌습니다. 여성들은 셀카를 통해 자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잠재적인 배우자에게

"나는 건강하고 매력적인 여성이며, 훌륭한 자손을 낳고 양육할 수 있다" 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사회적 기대와 학습된 행동 패턴에 주목합니다. 이는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 문화, 환경이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 관점입니다. 셀카 촬영 행동에서도 사회문화적인 요인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성 역할 고정관념

"남자는 강해야 한다", "여자는 예뻐야 한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남성은 셀카 찍는 것을 꺼리고, 여성은 셀카 찍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오랜 시간 동안 사회, 문화, 교육 등을 통해 형성되어 왔으며, 개인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남성의 경우, 셀카를 찍는 행위는 "남자답지 못하다"는 비난을 받거나 놀림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남성들이 셀카 촬영을 꺼리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반면 여성들은 어릴 때부터 "여자는 꾸며야 한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접하며, 외모를 가꾸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여성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인식하게 됩니다. 따라서 여성들은 셀카를 통해 자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타인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 것에 익숙하며, 이를 통해 자존감을 높이기도 합니다.

사회적 학습

어린 시절부터 부모, 친구, 미디어를 통해 셀카 촬영에 대한 성별 차이를 학습하고, 이를 무의식적으로 내면화합니다. 사회적 학습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면서 사회적 규범을 습득합니다. 셀카 촬영 행동 또한 이러한 사회적 학습의 영향을 받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남성은 셀카를 덜 찍고, 여성은 셀카를 더 많이 찍는 모습을 보면서, 이러한 행동 패턴을 자연스럽게 학습하게 됩니다. 또한, TV 드라마나 영화, 광고 등에서도 남녀의 셀카 촬영 행동에 대한 차별적인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개인의 무의식에 영향을 미쳐, 성인이 되어서도 셀카 촬영에 대한 성별 차이를 유지하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내 몸매는 어때?" 자기객관화 이론 심층 분석

자기객관화 이론 (Fredrickson & Roberts, 1997)은 여성들이 자신의 신체를 타인의 시선으로 평가하고, 외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여성들이 왜 남성들보다 셀카를 더 많이 찍는지, 그리고 셀카를 찍을 때 어떤 심리적 메커니즘이 작용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자기객관화의 개념

자기객관화는 자신의 신체를 하나의 객체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자신의 신체를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미적인 측면에서 평가하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끊임없이 외모를 관리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자기객관화는 신체 수치심, 섭식 장애, 우울증, 성적 불안감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기객관화 경향이 강한 사람은 수영복을 입거나 운동을 할 때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불편함을 느끼거나, 자신의 신체 부위를 끊임없이 비교하고 평가하며 자존감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여성과 자기객관화

여성들은 어린 시절부터 외모에 대한 사회적 압력과 기대에 노출되면서 자기객관화 경향을 내면화하게 됩니다. 미디어, 광고, 또래 집단 등을 통해 획일화된 미의 기준이 강조되고, 이러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면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여성들은 셀카를 통해 자신의 외모를 끊임없이 확인하고,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미적 기준에 맞추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남성과 자기객관화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자기객관화 경험이 적습니다. 이는 사회가 남성의 외모보다는 능력이나 성취를 더 중요하게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남성들은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외모를 가꾸는 것보다 학업, 직장, 운동 등에서 성과를 내는 것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쟤는 왜 이렇게 셀카를 잘 찍지?" 사회 비교 이론

사회 비교 이론(Festinger, 1954)은 사람들이 자신을 평가하기위해 타인과 비교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셀카 촬영도 사회 비교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소셜 미디어 시대에는 이러한 비교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사회 비교 이론의 개념

사회 비교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능력, 특징, 가치관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한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사회 비교는 크게 상향 사회 비교와 하향 사회 비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자존감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상향 사회 비교

자신보다 뛰어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것을 말합니다. 셀카 촬영 맥락에서 상향 사회 비교는 주로 소셜 미디어에서 이루어집니다.

예시: 자신보다 외모가 뛰어나거나, 사회적으로 더 성공한 사람들의 셀카를 보며 자신의 부족함을 느끼고, 열등감이나 상대적 박탈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NS에서 유명 인플루언서의 화려한 삶과 완벽한 외모를 담은 셀카를 보며 자신의 평범한 일상과 외모에 실망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향 사회 비교는 자존감 하락, 외모 불만족, 우울증 등의 심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향 사회 비교

자신보다 못한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 셀카 촬영 맥락에서 하향 사회 비교는 자신보다 외모가 부족하거나, 사회적으로 덜 성공한 사람들의 셀카를 보며 자신의 우월감을 확인하고, 자존감을 높이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거의 자신의 사진을 보며 "예전보다 훨씬 나아졌다"라고 생각하거나, 자신보다 셀카 찍는 실력이 부족한 사람들을 보며 자신의 셀카 실력에 만족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하향 사회 비교는 일시적으로 자존감을 높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 동기를 저해하고,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는 셀카를 통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할 수 있는 무한한 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비교는 개인의 자존감, 신체 이미지, 행복감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

남녀의 셀카 촬영 행동 차이는 진화심리학, 사회문화적 요인, 자기 객체화, 사회 비교 등 다양한 심리적 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셀카는 단순한 사진 촬영을 넘어 자기 표현, 소통, 사회적 비교, 자기 인식 등 다양한 심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개인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참고 문헌

  • Buss, D. M. (1989). Sex differences in human mate preferences: Evolutionary hypotheses tested in 37 culture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2(1), 1-49.  
  •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7(2), 117-140.
  • Fredrickson, B. L., & Roberts, T.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 Singh, D. (1993). Adaptive significance of female physical attractiveness: Role of waist-to-hip rati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2), 293-307.  
  • 김지혜, 김은주. (2019). 여대생의 SNS 중독과 자기 객체화, 신체 불만족 및 외모 관리 행동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2), 248-258.
  • 박선영, 이수진. (2017). 청소년의 셀카 중독 경향성과 자기 객체화, 외모 만족도 및 정신 건강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11), 137-160.
  • 성지연. (2015). 대학생의 SNS 활용 및 셀카 촬영 행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6(6), 1019-1028.